천년 농경의 숨결 따라 걷는 시간 여행 – 김제 벽골제

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에서 월승리에 이르는 약 3km의 길이로 조성된 고대 제방 **벽골제(碧骨堤)**는 우리나라 최대의 고대 저수지이자, 삼국시대 백제의 뛰어난 치수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 유산이다. 이 역사적 제방은 김제 만경들녘의 풍요를 가능케 한 농경문명의 요람으로, 1963년 국가사적 제111호로 지정되어 보존·관리되고 있다. 벽골제는 장생거와 경장거라는 두 개의 수문, 그리고 1415년에 세워진 벽골제 중수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구성 요소들은 당시의 치수 기술과 농경문화를 실감 나게 증언한다. 김제시는 이 소중한 유산을 단순한 유적지로 남겨두지 않고, 과거와 미래를 잇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시켜왔다. 1975년 벽골제 부분 발굴을 시작으로 1980년 유적 정화공사, 1990년 개발위원회 구성 등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현재의 벽골제 문화단지를 조성했다. 문화단지 내에는 벽골제와 농경문화를 주제로 한 전시와 연구가 이뤄지는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 김제를 배경으로 일제강점기 민중의 삶을 조명한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의 정신을 담은 아리랑문학관, 그리고 전북미술계의 거장 나상목 화백의 예술세계를 조망할 수 있는

정약용의 숨결 따라 걷는 길…자연과 역사 어우러진 ‘다산생태공원

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에 위치한 다산생태공원은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 선생의 정신과 자연의 조화가 살아 숨 쉬는 특별한 공간이다. 이 공원은 수도권 최대 상수원인 팔당호를 배경으로, 생태연못과 야생화 꽃밭, 수생식물원이 어우러진 자연 친화적인 산책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다. 다산 정약용의 호를 따 이름 붙여진 이곳은 단순한 생태공간을 넘어, 역사와 문화, 환경이 어우러지는 복합 물환경 생태공간으로 시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공원에는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한 조형물과 안내판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산책을 하며 자연과 함께 그의 삶을 되새겨볼 수 있다.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마치 수채화 같은 풍경이 펼쳐진다. 팔당호의 푸른 물결과 그 위에 피어난 다양한 수생식물, 그리고 계절마다 색을 달리하는 야생화 꽃밭은 방문객들에게 도심 속에서 만나는 자연의 쉼표가 되어준다. 이곳은 단순한 관광 명소를 넘어, 정약용 선생의 실사구시 정신을 자연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생태 교육의 장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많이 찾아 자연을 체험하고 정약용의 학문과 정신을 배우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