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전북 부안군의 한 작은 시골 마을. 평화롭고 조용한 이곳은 대부분이 고령자로 구성된 마을로, 하루하루를 정직하게 살아가는 어르신들의 삶이 이어지는 공간이다. 하지만 요즘, 이들에게 크지 않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걱정거리가 생겼다. 바로 ‘쓰레기 분리수거’다. 분리수거는 모두에게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연세가 많은 어르신들에게는 이 간단해 보이는 일이 여간 힘든 게 아니다. 무거운 포대에 하나하나 나눠 담고, 구분해서 배출하는 일은 허리와 손이 예전 같지 않은 어르신들에게는 큰 노동이다. 이마에 땀이 맺히고, 숨을 몰아쉬며 내놓는 그 과정은 생각보다 벅차다. 더 큰 문제는 그 이후다. 일부 수거 담당자들이 잘못된 분리수거 앞에서 목소리를 높이며 어르신들을 질책하는 일이 종종 벌어진다. “이걸 왜 이렇게 버리셨냐”며 나무라는 말 한마디에, 어르신들의 마음은 움츠러들고 상처를 입는다. “우리도 잘하고 싶은 마음은 다 있어요. 근데 몸이 예전 같지 않다 보니 자꾸 실수하게 돼요. 그래도 따뜻하게 말해주시면 더 노력하게 돼요.” 마을 어르신들의 이 한마디가 많은 것을 말해준다. 분리수거는 단순히 쓰레기를 분리해 내놓는 규칙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
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 구리시의회 사무실을 방문한 경험은 실망스러웠다. 공무원들의 태도는 무성의했고, 친절한 응대조차 기대하기 어려웠다. 기자인 나도 불친절을 겪었는데, 일반 시민들은 어떨지 우려된다. 공공기관은 시민을 위한 곳이며, 특히 시의회는 주민과 소통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문의에도 무심한 반응과 성의 없는 답변이 이어졌고, 시민을 ‘귀찮은 방문객’처럼 대하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태도가 일회성이 아니라는 점이다. 일부 시민들은 구리시의회 공무원들의 불친절함이 오래된 문제라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개선되지 않는 것은, 책임자들이 문제를 방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무원들의 태도는 기관의 얼굴이다. 시민을 존중하는 자세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구리시의회는 이제라도 문제를 직시하고, 실질적인 서비스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시민을 위한 기관이 시민을 불편하게 만든다면, 그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
더뉴스인 주리아 기자 | 서울 강서구는 도심 곳곳에 다채로운 꽃과 나무를 감상할 수 있는 정원을 잇따라 조성해 눈길을 끌고 있다. 구는 ▲마곡나루역 5번출구 앞 ▲강서구청사거리 교차로 ▲서울식물원온실 인근에 다채로운 꽃이 인상적인 정원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먼저, 구는 마곡나루역 5번출구 앞에 총 295㎡ 규모의 녹지 공간을 이달 초 조성했다. 엠버퀸, 유로피아나 등 다양한 장미 680본과 수국, 병꽃나무, 백합 등 화훼류 2,500본을 감상할 수 있으며 컵받침이 설치된 독특한 디자인의 벤치도 2개 설치했다. 화려한 꽃잎을 가진 장미의 매력을 즐기고, 편하게 앉아서 담소를 나눌 수 있는 힐링 공간으로 자리잡으며 주민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화곡동 강서구청사거리 교차로 인근에는 80㎡ 규모의 녹지공간을 추가로 조성했다. 기존 보도 블럭을 걷어낸 자리에 작약, 꼬리풀 등 1,380본의 다층식재로 정원을 조성한 점이 특징이다. 도로 보행자들의 안전을 돕는 교통섬의 기능은 살리면서 마음의 안정에 도움을 주는 휴식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서울식물원온실 앞 인도변에는 82㎡ 규모의 정원이 조성됐다. 사계절 내내 푸른 에메랄드그린과 봄·여름에 빛나는 알리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