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 반려동물 산업의 중심축이 전북으로 옮겨가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총 2,104억 원 규모의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며 ‘펫코노미’ 시대의 선두주자로 나섰다. 단순한 동물사랑을 넘어 바이오·헬스케어·펫푸드·복지까지 아우르는 정교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선언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0일, 반려동물 산업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반려동물산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전북특별자치도 반려동물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에 따른 5년 단위의 중장기 계획으로, 산업 전 주기를 포괄하는 4대 전략과 19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전북자치도는 ‘국내 반려동물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파급효과를 일으키겠다는 목표다.
첫째, 반려동물 의약품 개발 및 활성화로 산업 생태계 조성
전북자치도는 의약품·의료기기 분야를 핵심 산업군으로 육성하기 위해 산·학·연·병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혁신 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전주시에서는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동물용 의료기기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며, 총 200억 원 규모의 2개 과제를 진행할 계획이다.
익산시의 동물용의약품 클러스터에는 시제품 생산시설, 임상시험센터, 인수공통 유전자원 보존센터, 동물벤처 헬스타운 등을 추가 구축함으로써 기업들이 연구개발에서부터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이와 관련한 기업 유치 및 육성을 위한 과제 등 6개 과제에 총 1,095억 원이 투입된다.
또한 정읍시는 국책연구기관이 밀집해 있는 지역적 이점을 살려 총 600억 원 규모의 3개 과제를 추진하며,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연계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