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 (재)창원복지재단은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사회적 고립 가구 지원을 위한 두 가지 핵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우선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 모델 사업’은 사회복지시설,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행정복지센터 3자 간의 협업으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주민주도 마을 단위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번 사업은 기존 3개 권역(의창구 명곡동, 마산회원구 구암2동, 진해구 웅동2동)과 신규 1개 권역을 포함해 총 4개의 권역을 지원한다.
읍면동 사업의 핵심사안은 권역별로 종합사회복지관(창원종합사회복지관, 경남종합사회복지관, 창원시진해종합사회복지관)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행정복지센터를 1:1로 매칭하여 3개년 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또한 1차년도에는 주민교육중심, 2차년도 주민교육+사업실행, 3차년도 사업실행을 중심으로 점진적 전환을 통해 체계적으로 마을의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민·관·주민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행정복지센터, 창원복지재단 간 4자 업무협약도 체결될 예정이다.
또한 (재)창원복지재단은 사회적 고립 해소의 발판 마련을 위해 2025년 ‘보듬복지 공동체 활성화 지원 공모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사회적 고립 가구 지원’을 위해 지역의 사회복지시설이 고립가구 발굴부터 자립 지원까지 단계별, 체계적으로 사업을 구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회적 고립가구 찾기-지원하기-확장하기'의 3단계 전략으로 추진되며, 각 단계별 사회복지 기관을 선정해 기관당 최대 7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홍재식 이사장은 “두 사업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발굴하고, 주민이 주도하는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사회복지시설과 주민, 공공의 유기적인 협력으로 고립가구 발굴, 지원 등 지역사회 복지안전망 구축의 시너지 효과도 창출될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