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인 주재영 기자 | 창원특례시는 시민 안전 강화를 위해 올해 6월까지 비거주지역에 설치된 국가지점번호판 46개소를 조사·정비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국가지점번호’는 산악지대나 해안가에서 조난 및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구조를 돕기 위해 전 국토를 격자형으로 구획하여 문자 2자리와 숫자 8자리로 조합한 위치표시 체계다.
등산이나 해안가에서 길을 잃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국가지점번호를 소방서나 경찰서에 제공하면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가 가능하다.
이에 창원특례시는 관내 1,312개소의 국가지점번호판을 연차별로 점검·관리하고 있다. 올해는 2015년에 설치된 46개소를 대상으로 정비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주소정보시설 조사 단말기(Smart KAIS)’를 활용하여 번호판의 훼손·망실 여부, 시인성(식별 가능성) 확보 여부, 설치 위치의 적정성 등을 조사하고 등록할 예정이다.
조사 결과, 번호판 숫자가 잘못 표기된 경우 시설물에 가림막을 설치하거나 사용 금지 표시를 부착하는 등 즉각적인 조치를 취한다. 또한, 위치가 잘못 지정됐거나 훼손 정도가 심해 위치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사용 금지 안내문’을 부착한 후 정비할 계획이다.
박현호 도시정책국장은 “국가지점번호판은 위급 상황에서 시민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주소정보시설”이라며 “신속한 대응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철저한 점검과 정비를 실시하고, 시민들이 이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겠다”고 밝혔다.